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부산 반얀트리 호텔 화재 대피요령배우기

부동산상식

by popeyesj696 2025. 2. 15. 09:59

본문

반응형

부산 반얀트리호텔신축공사장 화재현장
부산 반얀트리호텔신축공사장 화재현장 출처=연합뉴스독자제공

 

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공사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는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, 현재까지 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 이 사고는 2025214일 오전 1051분경에 발생했습니다.

 

사고 개요

발생일시: 2025214일 오전 1051

발생장소: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445, 반얀트리 호텔 신축공사장

사고 결과: 6명 사망, 27명 부상 2

 

화재 진압 및 대응

(1) 화재 진압 및 대응 단계

대응 1단계 발령: 사고 발생 직후, 부산소방재난본부는 대응 1단계를 발령하여 초기 대응을 시작했습니다. 이 단계에서는 기본적인 인력과 장비를 동원하여 화재 진압을 시도했습니다.

대응 2단계 상향: 화재 상황이 심각해짐에 따라, 12시경 대응 2단계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. 이 단계에서는 인접 소방서에서 추가 인력과 장비를 지원하여 화재 진압에 나섰습니다.

(2) 화재 진압 과정

화재 발생 원인: 공사장 B1층 수영장 인근의 단열재에서 화재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.

진압 활동: 소방청은 화재 진압과 현장 수색 및 구조 활동에 집중하였으며, 경찰청은 사고 현장 주변을 통제하여 안전을 확보했습니다.

 

사고 원인 및 조사

(1) 사고 원인

화재 발생 위치: B1층 내부 인테리어 작업 중.

추정 원인: 건물 1층 수영장의 단열재에서 화재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, 이는 인테리어 작업 중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

(2) 조사 진행 상황

합동 감식: 경찰과 소방당국이 합동으로 화재 원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이 과정에서 화재의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감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
인원 동원: 사고 조사에는 352명이 동원되어 현장 감식 및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

 

피해자 지원

(1) 병원 지원: 부산시는 피해자가 이송된 각 병원에 직원을 파견하여 피해자의 상태를 확인하고, 가족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
(2) 긴급대책회의: 사고 발생 후 부산시는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피해자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

(3) 장례 지원 계획: 시는 사고 수습 진행 상황에 따라 장례 지원 및 분향소 마련을 계획하고 있습니다.

 

공사현장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

(1) 자재 보관 요령

안전한 장소 선정: 자재는 공사 현장의 안전한 장소에 보관해야 하며, 화재나 사고의 위험이 적은 곳에 두어야 합니다.

정리정돈: 자재는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어야 하며, 필요할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합니다.

지면과의 간격 유지: 자재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아야 하며,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 시설을 고려해야 합니다.

화재 위험 물질 관리: 인화성 물질은 별도의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고, 화재 발생 시 즉시 대처할 수 있는 소화기 및 소방 장비를 근처에 배치해야 합니다.

(2) 자재 관리 요령

정기 점검: 자재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손상된 부분이나 부식된 부분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
재고 관리: 자재의 재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필요할 때 적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

교육 및 훈련: 현장 근무자들에게 자재 관리 및 안전 교육을 실시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사고 발생 시 대처 방안 마련: 사고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마련하고, 정기적으로 훈련을 실시해야 합니다.

 

공사현장 화재시 대응 및 대피 요령

(1) 화재 발생 시 대응 요령

화재 신고: 화재를 발견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,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립니다. 신고 시에는 화재의 위치와 상황을 정확히 전달해야 합니다.

소화기 사용: 초기 화재일 경우, 소화기를 사용하여 진화할 수 있습니다. 소화기를 사용할 때는 바람 방향을 고려하여 불길의 뿌리 부분에 분사해야 합니다.

연기 피하기: 연기가 발생할 경우, 낮은 자세로 기어가며 대피해야 합니다. 연기는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, 바닥에 가까운 곳에서 대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(2) 화재 발생 시 대피 요령

신속한 대피: 화재 발생 시 즉시 대피 경로를 확인하고, 신속하게 대피해야 합니다. 대피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.

대피 경로 확인: 대피 경로는 사전에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, 화재 발생 시에는 연기와 불길을 피할 수 있는 경로로 대피해야 합니다.

모임 장소: 대피 후에는 지정된 모임 장소로 이동하여 인원 점검을 실시해야 합니다. 이때, 다른 사람을 구하려고 다시 건물로 들어가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.

 

https://youtu.be/PqaOIj3_1c4?si=fOH_PIikaLGyy9Ab

 

 

이번 반얀트리 호텔 공사장 화재 사고는 많은 인명 피해를 초래한 비극적인 사건입니다. 사고의 원인과 재발 방지를 위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며, 피해자와 그 가족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. 이와 같은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관리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.

관련글 더보기